|
파차파 캠프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
장태한 저 | 성안당 | 20181012
원 → 17,820원
소개 이 책은 지금까지 도산 안창호 선생의 미주 한인사회에서의 활동 중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부분, 특히 미주 독립운동의 초기 활동에 관한 이야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것은 안창호 선생이 캘리포니아주의 소도시인 리버 사이드에 파차파 캠프, 또는 도산 공화국을 만들어 미국 최초, 그리고 당시 최대의 한인타운을 건립했다는 것과 파차파 캠프가 도산 안창호의 초기 독립운동의 메카 역할을 했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리버사이드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동쪽으로 100킬로미터 떨어진 인구 30만 명의 소도시이다. 1904년 3월 23일 도산 안창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리버사이드로 이주했고, 그곳에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 또는 도산 공화국으로 알려진 한인 공동체를 건립했다는 것을 새로 발견된 사료로 증명하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적 사실, 즉 안창호는 왜 미국 이민국에 의해 강제로 추방되었는가에 대한 이유와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 9788931583069
|
|
|
|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티
윤인진^김광정^민병갑^신지연^임영상 저 | 북코리아 | 20190330
원 → 22,500원
소개 세계의 한인 커뮤니티는 과거보다 훨씬 더 이주 배경과 시기, 계층 지위, 정체성, 생활양식 등에서 이질적인 하위집단들로 구성되고 공간적으로도 분화되는 과정에 있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하고 분화하는 한인 커뮤니티를 업데이트된 정보와 지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한인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는 재외한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에스닉 커뮤니티는 이민자 개인과 거주국 사회를 연결하는 교량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민자 개인의 성공적인 정착과 사회통합은 개인적인 요인들(예를 들어,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만 개별 이민자들의 집합적 조직으로서 에스닉 커뮤니티는 이민자들을 동원하고 결집하기도 하고 거주국 사회와 상대해서 이민자 집단의 권익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보면 에스닉 커뮤니티는 미시적 수준의 개인과 거시적 수준의 사회의 중간에 위치한 중범위 수준의 단위로서 개인들의 자원과 동기가 어떻게 결집되어 집단 수준의 현상으로 표출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따라서 한인 커뮤니티가 인구통계적으로, 사회경제적으로, 그리고 공간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시기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는가를 조사하는 것은 재외한인 연구에 있어서 핵심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시대에 따른 한인 이주자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티를 들여다본다.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 9788963246215
|
|